반응형
SMALL
입력 2023.02.22 15:47
지난 21일 모델 이소라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샴푸 사용 후 알레르기가 올라온 피부 상태를 공개했다./사진=이소라 인스타그램 캡처
모델 이소라가 샴푸 사용 후 알레르기가 올라온 피부 상태를 공개했다.
이소라는 지난 21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좋다고 난리 난 샴푸를 따라 썼는데 알러지 때문에 화끈거리고 조금 고생했어요"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 이소라의 목덜미와 팔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빨갛게 붉어진 것은 물론 살짝 부어오른 모습이다. 이소라가 사용한 샴푸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샴푸의 특정 성분에 의한 자극성 접촉피부염일 수 있다.
◇일부 샴푸 성분, 피부에 자극 줄 수도
자극성 접촉피부염은 피부가 화학적 알레르기 물질이나 독소, 자극 물질 등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모발이나 피부에 바르는 샴푸, 염색제, 화장품, 로션, 매니큐어, 피부 항생제 연고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샴푸에 ▲설페이트 ▲파라벤 ▲실리콘 ▲프로필렌글리콜 성분이 있다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설페이트 성분은 값이 싸고 세정력이 좋은 계면활성제다.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LES)' 같은 석유 화합물이 대표적인 설페이트 성분인데, 세정력이 좋은 만큼 두피에 주는 자극도 크다. 피부에 쉽게 흡수돼 알레르기뿐 아니라 탈모를 일으키기도 한다. 파라벤과 실리콘은 샴푸가 상하지 않게 하는 화학 성분으로, 두피에 오래 닿으면 트러블을 일으키고 피부에 닿으면 피부가 숨 쉬는 것을 막아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로션·샴푸·세럼 등 화장품의 방부(보존)와 보습 효과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프로필렌글리콜'도 일부에게 접촉성피부염 등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미국 건강 전문 매체가 보도한 바 있다. 특히 습진·알레르기·아토피가 있거나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 사용하면 잠재적으로 발진이 생길 수 있다. 예민한 피부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자극성 물질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두피와 피부에 붉은 발적이 나타나고, 각질과 부종이 생길 수 있다. 가렵거나 따가워 자꾸 건드리면 물집이 생기고, 진물이 나거나 모낭염 등 2차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아미노산계 성분 샴푸, 비교적 안전
피부가 예민하다면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이 함유된 저자극 샴푸를 쓰는 게 좋다. '소듐라우로일알스파테이트(SLA)' 등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은 임산부나 유아용 제품에 사용할 정도로 안전성이 보장됐다. 그중 친환경 성분으로 알려진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은 코코넛 오일에서 나온 천연 성분으로 피부 점막을 자극하지 않고,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피부의 수분 증발을 막는다. 이들은 미국비영리환경단체(EWG)로부터 안전 등급을 받았다. 또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은 두피와 모발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변성을 막아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비듬·각질·가려움증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샴푸 성분을 확인하려면 제품 뒷면의 라벨을 확인하면 된다. 가장 많이 들어있는 성분 순으로 쓰여 있다.
◇이상 증상 나타나면 샴푸 사용 바로 중단
만약 특정 샴푸를 쓴 뒤 피부가 빨갛게 올라오는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났다면 바로 샴푸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을 찾는 게 안전하다.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계속 노출되면 만성 접촉피부염으로 진행돼 피부가 벗겨지며 건조해지고, 모발 소실이 생길 수 있다. 증상이 심하면 차가운 물로 적신 수건을 비닐 주머니에 싸서 병변 부위에 대 증상을 가라앉히는 게 도움이 된다. 이때 가렵다고 긁거나 피부 연고를 함부로 바르는 것은 금물이다. 적절한 치료를 받고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면 증상은 2~3주 이내에 좋아진다. 어떤 성분이 자신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지 모르겠다면, 피부과에서 알레르기 항원 검사를 통해 원인 항원을 알아볼 수 있다.
이소라는 지난 21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좋다고 난리 난 샴푸를 따라 썼는데 알러지 때문에 화끈거리고 조금 고생했어요"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 이소라의 목덜미와 팔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빨갛게 붉어진 것은 물론 살짝 부어오른 모습이다. 이소라가 사용한 샴푸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샴푸의 특정 성분에 의한 자극성 접촉피부염일 수 있다.
◇일부 샴푸 성분, 피부에 자극 줄 수도
자극성 접촉피부염은 피부가 화학적 알레르기 물질이나 독소, 자극 물질 등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모발이나 피부에 바르는 샴푸, 염색제, 화장품, 로션, 매니큐어, 피부 항생제 연고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샴푸에 ▲설페이트 ▲파라벤 ▲실리콘 ▲프로필렌글리콜 성분이 있다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설페이트 성분은 값이 싸고 세정력이 좋은 계면활성제다.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LES)' 같은 석유 화합물이 대표적인 설페이트 성분인데, 세정력이 좋은 만큼 두피에 주는 자극도 크다. 피부에 쉽게 흡수돼 알레르기뿐 아니라 탈모를 일으키기도 한다. 파라벤과 실리콘은 샴푸가 상하지 않게 하는 화학 성분으로, 두피에 오래 닿으면 트러블을 일으키고 피부에 닿으면 피부가 숨 쉬는 것을 막아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로션·샴푸·세럼 등 화장품의 방부(보존)와 보습 효과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프로필렌글리콜'도 일부에게 접촉성피부염 등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미국 건강 전문 매체가 보도한 바 있다. 특히 습진·알레르기·아토피가 있거나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 사용하면 잠재적으로 발진이 생길 수 있다. 예민한 피부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자극성 물질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두피와 피부에 붉은 발적이 나타나고, 각질과 부종이 생길 수 있다. 가렵거나 따가워 자꾸 건드리면 물집이 생기고, 진물이 나거나 모낭염 등 2차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아미노산계 성분 샴푸, 비교적 안전
피부가 예민하다면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이 함유된 저자극 샴푸를 쓰는 게 좋다. '소듐라우로일알스파테이트(SLA)' 등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은 임산부나 유아용 제품에 사용할 정도로 안전성이 보장됐다. 그중 친환경 성분으로 알려진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은 코코넛 오일에서 나온 천연 성분으로 피부 점막을 자극하지 않고,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피부의 수분 증발을 막는다. 이들은 미국비영리환경단체(EWG)로부터 안전 등급을 받았다. 또 아미노산계 세정성분은 두피와 모발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변성을 막아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비듬·각질·가려움증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샴푸 성분을 확인하려면 제품 뒷면의 라벨을 확인하면 된다. 가장 많이 들어있는 성분 순으로 쓰여 있다.
◇이상 증상 나타나면 샴푸 사용 바로 중단
만약 특정 샴푸를 쓴 뒤 피부가 빨갛게 올라오는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났다면 바로 샴푸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을 찾는 게 안전하다.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계속 노출되면 만성 접촉피부염으로 진행돼 피부가 벗겨지며 건조해지고, 모발 소실이 생길 수 있다. 증상이 심하면 차가운 물로 적신 수건을 비닐 주머니에 싸서 병변 부위에 대 증상을 가라앉히는 게 도움이 된다. 이때 가렵다고 긁거나 피부 연고를 함부로 바르는 것은 금물이다. 적절한 치료를 받고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면 증상은 2~3주 이내에 좋아진다. 어떤 성분이 자신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지 모르겠다면, 피부과에서 알레르기 항원 검사를 통해 원인 항원을 알아볼 수 있다.
반응형
LIST
댓글